3월호인데 4월 1일이 되어서야 읽었다. 3월에 뭐에 홀린건지 패션 잡지를 3권이나 샀기 때문도 있고, 자격증 공부에 아르바이트에... 핑계거리가 너무 많았기 때문이기도 하다. 오랜만에 마리끌레르를 구매한 이유는 커버에 있다. 형광빛 타이틀과 공효진. 언제나 매력적인 그녀의 주변에 나열된 불편하지 않은 문장들을 본 순간 사지 않을 수 없었다.
이번호를 한 단어로 말하자면 책. 시작을 여는 편집장님의 말부터 감탄하지 않을 수 없었다. 편집장으로서 '육아휴직은 당연한 권리입니다. 휴직 후 당신은 지금의 자리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라고 말하겠다는 글. 점점 패션 잡지들이 페미니즘의 논조를 외치긴 했으나, 편집장이 이런 말로 잡지를 여는 시대가 오다니. 새삼 감개무량해 잠시 침묵했다. 원래 마리끌레르는 시즌별 패션쇼를 잘 정리한 부록이 등장할 때만 구매했었는데, 학창시절부터 엄마 눈치를 보며 모으던 것들이 이제는 꽤 부피가 크다. 그래서 내게는 추억이 있는 잡지이기도 하다.
이번 19년도 3월호는 창간기념호였는데, 그래서인지 서정적인 목소리가 강했다. 창간기념호 다운 두께와 분량에 하루종일 매달려 줄을 쳐가며 읽지 않을 수 없었다. 보통 그 달의 잡지는 1개씩만 구매하던 것과는 다르게 3개를 구매했는데, 마리끌레르의 내용이 압도적으로 좋았다. 모노톤으로 잘 써놓은 글에 아름다운 화보, 예쁜 의도가 더해지니 좋지 않을 수 없다. 어줍잖게 남성의 목소리를 끼우지 않은 점. 명예 남성을 언급한 인터뷰.. 꼼꼼히 읽으며 맞다, 그랬었지 소리를 절로 중얼거리게 만드는 튼실한 내용이었다.
아쉬운점
이번호는 20명이 넘는 여성들에게 페미니즘을 묻는 기사가 가장 메인인 듯 했다. 기획의 의도는 좋았으나 정형화된 질문으로 수십명을 인터뷰하니 조금 긴 느낌이 있었다. '페미니즘이란?' 이라는 굵은 텍스트를 둘러싼 수많은 인터뷰이의 답으로 마인드맵 모양의 레이아웃을 짰다면 더 읽기 쉬웠겠다는 생각을 해본다. 또, 이번호에는 디올의 옷이 유독 여러번 겹쳐 등장했다. 물론 디올은 사랑스럽지만! 너무 많은 지면을 할애한 것은 아닐까? 디올의 19년 ss를 충분히 감상했다는 점에 의의를 두자.
잡지를 오랫동안 보니까 '저런건 이렇게 고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자주 들고, 갑자기 내가 잡지계 혁신을 이끌 방법을 찾은 기분이 들 때가 있다. 고등학교 때 생활기록부에 적을 정도로 고치고 싶은, 잡지에 너무 많은 외래어와 외국어. 코팅지 특유의 냄새(이부분은 많이 개선된 것 같다.)에 이어서 오늘은 사진과 텍스트(캡션)간 멀고 먼 거리가 아쉬웠다. 놓치는 것 없이 다 읽으려다보니 3번 치마..4번 바지..하며 손가락을 쭉- 제품 사진에서 문장으로 끄는 건 50쪽 안에 지치고, 결국 대충대충 읽게 되기 때문에.
내가 책임지는 지면이 생긴다면 도전해보고 싶은 것들이 너무 많다.
'패션'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난하지만 패션을 사랑하는 (0) | 2019.12.21 |
---|---|
19 F/W 듀이듀이 패션쇼 다녀오다. (컬렉션 평有) (0) | 2019.03.25 |
아더에러 X 푸마 19S/S 런칭파티 다녀오다. (1) | 2019.03.13 |
2018 서울패션페스티벌 진짜진짜 솔직하고 간략한 후기. (0) | 2018.11.01 |
동대문, 어디로 가야해요? - 우리가 느꼈던 불편함에 대하여 (0) | 2018.09.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