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기억력이 나쁘다. 뭔가를 기억하는 게 아주 피곤할 정도인데, 다만 흐름이 있는 것은 잘 기억한다. 이야기, 역사 같은 부류들 말이다. 이름자가 그 사람과 무슨 자연스러운 흐름이 있는 경우는 드물다. 그래서 사람의 이름은 가장 외기가 어렵다. 몇 해를 친하게 지낸 사람의 이름도 종종 더듬거리고 만다. 놀라운 사실은, 그런 내가 이 책을 작가님의 이름 덕에 읽게 되었다는 것이다.

  정세랑 작가님은 내가 가장 사랑하는 두 개의 팟캐스트에서 만났다. ‘영혼의 노숙자서늘한 마음 썰인데, 바탕은 비슷해도 색채가 다른 곳이다. ‘영혼의 노숙자는 불편하지 않은 웃음을, ‘서늘한 마음썰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속내를 말하는 곳이다. 두 곳 모두에서 작가님은 본연의 색을 유지한 느낌이었다. 작가님 특유의 어조가 좋았다. 처음에는 툭, 빠르게 말을 열고 중간에 급작스럽게 느려지는 말투. 마치 엄마의 표정을 살피는 아이 같은 말투라 듣는 내내 미소가 걸려있었다. 그는 담백하고 조심스럽지만 명확하게 느껴졌고, 그가 말하는 작품 역시 그런 느낌이었기에 그의 글을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자연스레 들었다.

  도서관에서 정세랑 작가님의 책을 찾을 때 놀란 것은, 이미 많은 책이 대출 중이고 예약까지 가득 차 있었다는 점이다. 문단 내 성폭력에 목소리를 높이는 도덕적인 작가님을 사랑하는 독자들이 많은 것인지, 그저 작품 자체가 좋아서인지 호기심이 들었다. 어렵사리 남은 몇 개의 책을 빌려왔는데, 가장 먼저 꺼내 든 것은 <옥상에서 만나요>라는 작품이다. 책의 내용은 그를 글로 풀어낸 듯 했다. 가장 좋았던 작품은 해피 쿠키 이어이혼 세일이었는데 담담하지만 목적지가 확실한 문체와 신선한 발상이 섞여 재미있었다. 중동에서 온 의대생이 사고로 귀의 일부를 잃고, 없어진 귀가 과자로 재생되는 이야기. 오래 된 친구들에게 이혼으로 쓸모 없어진 물건을 판매하는, 학창시절 친구들 사이에서 늘 유행을 이끌던 여자의 이야기. 굳이 다른 작가와 비교하고 싶지 않지만,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작품에 우유를 잔뜩 넣고 머그컵에 담아 오후즘에 홀짝이는 느낌이었다. 일상적이지만 비일상적인 묘한 매력이 있다. 나는 그걸 판타지라 말하기보다 일상의 소소한 기적으로 묘사하고 싶다. 그의 글은 까끌거리는 부분이 없어 부드러웠고, 너무 조심스러워 재미를 잃지도 않았다.

  내가 좋아하는 사람들이 SNS에서 정세랑 작가님의 팬을 자처하는 것을 보면서, 어떤 면에서 그에게 매료되었을까 궁금했다. 나는 그의 수많은 작품 중 이제 한 권을 읽었을 뿐인데 바로 짐작이 가능했다. 초반부터 독자를 휘어잡는 강렬한 작품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흐릿한 작품도 아니다. 묘사하자면 철사가 든 굵은 연노랑 털실이라고 말하겠다. 따뜻하고 부드럽지만, 심지가 있다.

  원래 내가 책을 고를 때는 아주 많은 실패가 필요하다. 평론가의 글도, 지인의 추천도, 베스트 셀러 순위도 내게는 영 시큰둥하기 때문이다. 차라리 SNS에 간혹 보이는 진심 어린 감탄의 문장들, 표지 뒷면에 있는 한두문단의 글이 나를 읽게 만든다. - 잠시 논지를 벗어나자면 그런 이유에서 요즘 출판계에 불만이 많은데, 내가 학생일 때까지만 해도 뒤표지에 글을 실은 책이 많았다. 아니면 하다못해 한두문장의 카피라도 있었는데, 요즘은 표지에 제목과 저자 말고는 아무런 정보가 없는 책들이 꽤 많다. 나는 시간이 많아 모든 책을 훑어볼 수 있는 사람이 아닌데.. 아무 데나 펼쳐 그 부분만 읽고 고르기에는 내가 읽은 부분이 핵심인지, 아닌지도 모르겠다. 뒤표지에 적힌 글이야말로 책을 통과하는 말이라고 생각해서 별다른 설명이 없는 책은 찝찝한 기분으로 내려놓게 된다. 그런 면에서도 <옥상에서 만나요>는 만족스러웠다. – 뒷표지에 거창한 카피 대신 이언희 감독님의 평이 실려있다. 책을 읽고 나니 감독님이 말씀하시는 ‘정세랑의 다정함’이 한 번에 이해되었다. 마음은 고맙지만 부담스럽지도, 제 딴엔 다정이라지만 외롭지도 않은 다정함. 언뜻 보면 무감한 행동에 깊숙이 베여있는 다정함. 내가 가지고 싶어 하는 다정함이다.

  나는 어려서부터 늘 열의가 넘쳐흐르는 만화 주인공보다 늘 웃기만 하다가 중요한 순간에 결정적인 정보를 주는, 이리저리 뛰는 주인공 뒤에서 팔짱을 끼고 지켜보는 인물을 좋아했다. 늘 그런 사람이 되고자 부던히도 노력했다. <옥상에서 만나요>에는 그런 분위기가 있다. 묘하게 시선을 끄는 다정한 재미. 기실 그게 가장 어려운 일임을 알기에 앞으로도 그와 그의 작품을, 털실 속에 숨겨진 철사를 응원하겠다. 정말 그녀가 문화부 장관이 되었으면 좋겠다. 기백과 깊이가 있는 사람이다.

P.S. 사실 이러니 저러니 해도 문단 내 심각한 불평등을 직면하기위해 등단을 결심하고, 등단을 해낸 점에서 이미 매혹되었다. 

'감상 > '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젠더리즘은 없고, 트렌드만 남았다.  (0) 2018.05.28
간단하고 즉흥적인 보그 8월호 리뷰.  (0) 2017.09.02

+ Recent posts